군집 자료형 (여러 데이터를 모은 집합 형태 자료형) 리스트 list :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 (열거형) 튜플 tuple :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열거형 집합 set : 순서가 없고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 집합 dictionary : 키와 값으로 구성된 집합 자료형 변환 방법 1) int(정수형) -> str(문자형) 변환 : str(10) 2) str-> int 변환 : int('10') 3) float(실수형)-> int 변환 : int(12.5) 4) str -> list 변환 : list('hello')

*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 - 리스트는 [], 튜플은 () - 리스트는 값을 생성, 삭제, 수정 가능하지만 튜플은 값을 바꿀 수 없음 1. 튜플 요소를 삭제할 경우 튜플은 값을 삭제할 수 없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typeerror가 발생함 2. 튜플 인덱싱 [0]위치에 해당하는 1이 출력됨 3. 튜플 슬라이싱 [1:] -> 1번째 위치부터 끝위치까지 출력 4. 튜플 더하기 5. 튜플 곱하기 6. 튜플 길이 구하기 a1은 4개의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4개의 길이가 출력됨 출처 : 점프 투 파이썬(WikiDocs)

list 관련 함수 정리 1. reverse() 리스트를 뒤집어서 출력시켜줌 2. index(x) x 값이 있다고 가정하면, x의 위치 값을 돌려주는 함수 숫자 3이 가진 위치는 a[2]이므로 위치값인 2를 돌려준다. 3. insert(a,b) 리스트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해주는 함수 (리스트 요소 삽입) a의 3번째 위치에 6을 삽입해줘서 [1,2,4,6]이 출력됨 4. remove() 리스트 요소 제거 -> 요소(값)를 제거해줌 remove 함수는 리스트내에 같은 값이 2개 이상 있으면 한번에 제거해주는 함수는 아닌듯. 같은 값이 있을 경우, 반복해서 제거해줌 5. extend() 리스트 확장 extend에서 () 안에는 리스트만 올 수 있음 기존 리스트에서 ()안에 리스트를 더해줌 출처 : 점프 ..

문과생의 python 공부 기록) 1) insert : 리스트에 요소 삽입 insert(a,b) : a번째 위치에 b값을 삽입하는 함수 2) zip 함수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 자료형을 묶어주는 역할 3) enumerate 순서가 있는 자료형을 입력으로 받아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enumerate 객체를 돌려줌 step1) students라는 변수를 생성하여 기존 student를 sort하여 정렬시켜서 students변수에 저장해주었고 step2) start를 1로 지정해서 0부터 시작이 아닌 1부터 시작하도록 지정해주었다. 문제 출처 : 퓨처스킬 학습 출처 : WikiDocs

문과생의 python 공부 기록) LIST - 쉽게 말해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 - 개별적, 독립적인 자료가 아닌 모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형태의 자료 - 구성 [요소, 요소, 요소,....] 1) append() 리스트 값 추가 형식 : 리스트.append() 2) 특정 값에 접근하기 - 리스트[인덱스] 인덱스의 시작은 0부터이다. 3) del (값 제거하기) 형식 : del 리스트[제거할 인덱스] 인덱스[1]은 클로버2에 해당하며, del clovers[1]은 클로버2를 제거하겠다는 의미 4) 리스트[시작인덱스:끝인덱스+1] - 여러 값 가져오기 5) sort() - 정렬하기 형식 : 리스트.sort() 6) count() - 개수 세기 리스트 안에 있는 '하트'라는 요소의 개수를 출력함 ..